안녕하세요 환영합니다.믿음과신용의 온라인카지노 윈스입니다. 한번 경험해보시고 대박나세요..

2012년 4월 3일 화요일

실전바둑이 5포의 상황 (1명은 5구에서 기권)


[CASE 1]   5포의 상황 (1명은 5구에서 기권)

베팅순서 : ⓐ (보스카드) → ⓑ → ⓒ → ⓓ (본인)
베팅상황 : ⓐ - 베팅
                ⓑ - 콜
                ⓒ - 레이즈
                ⓓ - ?
그림에서 ⓐ가 액면에 3 원-페어를 깔아놓고 보스이다. 베팅을 하고 나왔다. ⓑ에서 콜을 했다. 이제 ⓒ가 콜을 하든 죽든 ⓓ(본인)는 무조건 레이즈 찬스라며 속으로 다짐하고 있던 중, 갑자기 ⓒ에서 레이즈가 날아온 것이다. 이럴 때는 과연 어떻게 해야 하는가? 그럼 이제부터 [CASE 1]의 카드들을 읽어보고 꺽어야 할지 콜을 해야 할지를 선택해보기로 하자.
우선 ⓐ가 베팅을 하고 나왔다는 것은, 누구든 일단 ⓐ의 카드를 Q-3 투-페어 또는 3트리플 정도로 생각할 것이다(일단 공갈이 아니라는 전제하에). 그런데 액면에 3이 한 장이 빠져 있으니 3트리플보다는Q 투-페어로 생각하기가 쉬운 상태이다.
ⓑ는 콜을 했으니, 뒷사람들을 달고 가는 것이 아니라면 일단은 노 메이드 상태의 비전 카드로 하자.
문제는 레이즈를 한 ⓒ의 카드인데, ⓒ역시도 ⓐ의 카드가 Q-3 투-페어 정도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고 본다면, ⓒ의 카드는 (공갈이 아니라는 전제하에) Q-3 투-페어에게 현재 이기고 있는 카드는 (현재로서는) 트리플 또는 스트레이트 메이드밖에는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의 카드가 트리플 또는 스트레이트 메이드 라는 결론이 나오게 된다.
이 경우 결론은, 이제 ⓓ는 6구에 콜을 하면 마지막에 풀-하우스를 떠야 이기고, 못 뜨면 진다고 봐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해서 결국 ⓓ는
      ㉮ 히든 카드에 풀-하우스를 뜰 자신이 있든지
      ㉯ 히든 카드에 풀-하우스를 못 떠도 ⓒ의 카드를 공갈로 보고서 마지막 7구의 베팅까지도 받아볼
          신이 있지 않는 한
6구에 카드를 꺽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이기기 위한 방법은 ㉮와 ㉯인데, ㉮는 확률이 너무 희박한 것이며, ㉯는 위험 부담이 너무 크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6구에 콜을 하고 일단 풀-하우스를 시도해본 후 "7구에 ⓒ에서 베팅을 안할 수도 있지 않느냐?" 고 반문할지도 모르지만, ⓒ가 최소한의 실력만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만약에 공갈이라면 끝까지 베팅을 할 것이고, 그렇지 않고 베팅을 하지 않는다면 ⓒ의 카드는 분명히 트리플아니면 스트레이트 메이드가 90%이상 틀림없다는 것이다.
이 때 가장 못하는 사람(가장 하수)이 선택하는 방법이 바로 6구에 콜을 한 후 7구에 풀-하우스를 못 뜨면 마지막 베팅에 힘없이 죽는 사람들이다. 이러한 사람들이 가장 쉽게 돈을 잃어주는 포커판의 천사들인 것이다. 마지막 베팅을 받지 못한다는 것은 ⓒ를 A 투-페어보다 높게 힌정한다는 것인데, 그렇다면 6구에 콜을 한 것은 오직 풀-하우스를 만들겠다는 일념이었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투-페어에서 풀-하우스를 뜨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가는 누차 설명을 했다.
그렇다고 해서 6구에 콜을 하고 7구에 풀-하우스를 못 뜨고 나서, 마지막 베팅을 콜을 하고 확인하라는 얘기가 결코 아니다. 6구에 이미 본인이 지고 있다고 생각하면 6구에서 죽는 것이 정상이고, 6구에서 여러 가지 상황으로 미루어보아 "죽어도 ⓒ의 카드는 별것이 없어" 라고 판단된다면 그 때부터 마음을 굳게 다지고서 "풀-하우스를 못 떠도 모조건 확인한다." 라는 식의 운영을 하라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많은 위험 부담이 있는 것이긴 하지만 가끔은 필요할 때도 있는 것이 틀립없는 사실이며, 이러한 결정을 할 때는 반드시 ⓒ의 카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성격, 평소의 게임하는 스타일, 공갈을 자주 하는 편인가? 등등의 여러 가지 면을 종합해서 결단을 내리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잇다. 하지만 분명히 정석은 6구에서 죽어주는 것이라는 것을 명심하기 바란다. 

[CASE 2   5포의 상황 (1명은 5구에서 기권)

베팅순서 : ⓐ (보스카드) → ⓑ → ⓒ → ⓓ (본인)
베팅상황 : ⓐ - 베팅
                ⓑ - 콜
                ⓒ - 레이즈
                ⓓ - ?


그럼 이번에는 [CASE 2]의 경우를 보기로 하자.
이것은 ⓓ(본인)의 카드도 [CASE 1]과 같고 여러 가지 상황이 [CASE 1]과 매우 흡사하지만, 결과는 아주 다른 것이다. [CASE 2]의 경우는 모든 것이 [CASE 1]과 비슷하지만, 결정적으로 다른 것이 바로 ⓒ 카드의 액면이다. ⓒ의 액면을 보면 8 원-페어에 K와 3이 한 장씩 깔려 있다.
ⓐ의 카드를 일단 J 투-페어로서 보아준다고 할 때, ⓒ의 카드가 ⓐ의 카드를 이기려면 K 투-페어 또는 8 트리플이 가장 많은 경우리며, 그 중에서도 K 투-페어가 있을 확률이 더 높은 것이다. 이 경우에 물론 ⓒ의 카드가 이미 풀-하우스가 메이드되어 있을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는 없긴 하지만, 거기까지 생각한다면 한이 없는 이야기가 되기 때문에 그 경우의 상황은 어느 정도 무시하고서 별도로 추가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의 카드를 K 투-페어로서 승부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하여 콜을 하고 승부하는 것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혹시라도 풀-하우스를 뜰 수만 있다면 그것은 금상첨화인 격으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의 이 이론은 매우 중요한 것이므로 [CASE 1]과 [CASE 2]의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반드시 정확히 이해야여 여러분들의 것으로 만들기 바란다.

공통적으로 하수의 가장 큰 특징은, 초번에 끗발이 올라서 돈이 좀 들어오더라도 조금만 끗발이 붙지 않으면 금방 그 돈이 없어지는 것이며, 그와 반대로 고수들일수록 한번 들어와서 자기 앞에 돈을 쌓아놓기 시작하면 웬만해서는 그 돈이 잘 빠져나가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것은 바로 고수들일수록 (특히 따고 있는 경우에는 더욱더) 가능성이 적은 무리한 승부는 피하고, 조금이라도 더 유리한 상황이라고 판단될 때 승부를 걸기 때문이다.
지금의 이론은 자신이 꼭 A 투-페어를 가지고 있을 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모든 경우에 해당되는 사항이므로 반드시 정확한 의미를 숙지해두기 바란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